티스토리 뷰
1과목 : 사무자동화 시스템
==========================================================================================
- MHS (Message Handing System, 메시지 처리 시스템)
˚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텔렉스 등 통신수단에 관계없이 상대방의 통신수단별 번호만 알면
국내외 어디서나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MHS의 구성
- User(사용자)
- UA(User Agent, 사용자 에이전트)
- MTA(Message Transfer Agent, 메시지 전송 에이전트)
- MS(Message Store, 메시지 저장장치)
- AU(Access Unit, 엑세스 장치)
˚ DPI(Dots Per Inch)는 1인치당 인쇄되는 점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쇄 밀도의 단위이다.
˚ 인트라넷(Intranet)은 통신망이나 통신환경의 일종이 아니라 정보시스템이다.
˚ 누산기(Accumulator)는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 사무자동화 기기의 효용성이 높거나 낮다는 이유로 사무자동화 목표를 달성에 장애요소가 되지 않는다.
˚ 계층적 데이터베이스(hierarchical database)는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트리(Tree)형태로 표현한 데이터베이스로,
1:n 관계 (부모-자식 관계)를 가진다.
˚ 종이에 인쇄된 정보를 축소 촬영한 필름에 저장하는 기기인 COM(Computer Output Microfilm)은 검색 시간이 오래걸리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필름을 고속 자동으로 검색해주는 시스템인 CAR(Computer Assisted Retrieval)이 개발되었다.
=> COM은 시간이 오래걸려 느리므로 고속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인 CAR이 개발되었다.
˚ 사무자동화(OA)는 컴퓨터기술, 통신 기술, 시스템 과학, 행동 과학을 적용하여 사무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 빌딩자동화(BA)는 각종 설비를 원격제어,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 공장자동화(FA)는 부분적인 자동화, 단위기계의 완전자동화, 생산 라인의 자동화 시스템이다.
˚ 점포자동화(SA)는 POS시스템을 기본으로 한 스토어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 그룹웨어(Groupware)는 공동 작업이나 공동 목표에 참여하는 다양한 작업 그룹을 지원하는 응용 시스템으로,
기업과 소비자간에 전자상거래는 제공하지 않는다.
˚ 예방 보수(Preventive Maintenance)는 장래의 유지보수성 또는 신뢰성을 개선하거나
소프트웨어의 오류발생에 대비하여 미리 예방수단을 강구해두는 활동이다.
˚ 입출력장치는 기억장치에 비해 동작속도가 매우 느리다.
★★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 indirect() 함수는 텍스트 문자열로 지정한 셀 주소로 돌려준다.
˚ 사무자동화 접근 방식에는 전사적 접근 방식, 부문 전개 접근 방식, 공통 과제형 접근 방식,
기기 도입형 접근 방식, 계층별 접근 방식, 업무별 접근 방식이 있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파일이 파괴 되었을 때 복구가 복잡하고 완벽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사무자동화는 비구조적인 사무에 대하여 컴퓨터 기술, 통신 기술,
시스템 과학, 행동 과학을 적용하여 사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 주사(Scan)는 사진, 팩시밀리에서 문자, 그림 등의 전송 화면을 다수의 작은 화소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기계적 주사(원통 주사, 평면 주사), 전사적 주사(고체 주사) 방식이 있다.
˚ 마샬링(marshalling)은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럄의 출력을
다른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입력으로 전달하기 위해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2과목 : 사무경영관리 개론
==========================================================================================
˚ 표준작업시간 = 정미시간 + 여유시간
˚ 여유율 = (여유시간/정미시간)X100%
˚ 소요되는 시간 = 정미시간,
˚ 여유시간에는 작업 여유, 피로 여유, 용달 여유, 개인 여유, 지연 여유 등이 있다.
˚ 경영정보시스템(MIS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은 경영을 위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일반사용자들에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 사무관리론의 발전 과정
① 과학적관리법
② 사무작업연구
③ 사무공정연구
④ 정보처리시스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1조 (통로의 조명)
˚ "사업주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에 75럭스 이상의 채광 또는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
다만, 갱도 또는 상시 통행을 하지 아니하는 지하실 등을 통행하는 근로자에게 휴대용 조명기구를 사용도록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 사무량 측정이 부적합한 사무
˚ 사무량이 적은 잡다한 사무
˚ 반복성이 없는 업무
˚ 판단 및 사고력이 요구되는 사무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 21조 (중요 기록물의 이중보존)
① 영구보존으로 분류된 기록물 중 중요한 기록물은 복제본을 제작하여 보존하거나
보존매체에 수록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중보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기록물관리기관이 보존하는 기록물 중 보존매체에 수록된 중요 기록물은 안전한 분산 보존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기록물의 보존매체 사본을 중앙기록물관리기관에 송부하여야 한다.
③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장은 국가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기록물에 대하여는 기록물관리기관에
그 기록물을 보존매체에 수록하고 보존매체 사본을 송부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 저작권법 제2조 (정의)
˚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명령으로 표현된 창작물을 말한다.
- 저작권 법 제15조(공동저작물의 저작인격권)
① 공동저작물의 저작인격권은 저작자 전원의 합의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이를 행사할 수 없다.
이 경우 각 저작자는 신의에 반하여 합의의 성립을 방해할 수 없다.
② 공동저작물의 저작자는 그들 중에서 저작인격권을 대표하여 행사할 수 있는 자를 정할 수 있다.
③ 제 2항의 규정에 따라 권리를 대표하여 행사하는 자의 대표권에 가하여진 제한이 있을 때에
그 제한은 선의의 제 3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
˚ 사무통제 수단의 일종인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는 하나의 시간 계획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관리자에게 완성될 프로젝트에 관하여 정확히 요구된 시간의 추정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무계획 수립 기법이다.
˚ PERT 기법은 주공정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주공정과 상관없는 인원이나 특수설비 등을
개별적으로 배치할 수 없습니다.
- 사무조직화의 일반 원칙
˚ 목적의 원칙
˚ 책임과 권한의 원칙
˚ 권한 위임의 원칙
˚ 기능화의 원칙
˚ 전문화의 원칙
˚ 명령 계통의 일원화
- EDI 네트워크
˚ 직접 방식 네트워크: 다이얼업 모뎀을 이용해 거래선의 컴퓨터에 직접 연결 -> 각 거래 상대방들과의 보안관리가 어렵다
˚ 제 3자 네트워크 : VAN(부가가치통신망)을 거래 당사자 사이의 중간 연결 매체로 이용
˚ 사무품질관리 : 구체적인 목적이나 절차, 작업 방법에 대서 품질표준을 정하여 관리하는 활동이다.
˚ 사무공정관리 : 사무표준을 사용하여 매일 발생하는 사무를 능률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관리 활동이다.
˚ 기안문의 해당 직위 또는 직급의 앞 또는 위에 발의자는 ★ 표시를, 보고자는 ⊙ 표시를 하며,
회의록, 각종 증명 발급, 검토나 결정이 필요하지 아니한 문서에는 발의자와 보고자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 5조 (기록물관리의 원칙)
˚ 공공기관 및 기록물관리기관의 장은 기록물의 생산부터 활용까지의
모든 과정에 걸쳐 진본성(眞本性), 무결성(無缺性), 신뢰성 및 이용가능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 "전자문서는 작성자외의 자 또는 작성자의 대리인외의 자가 관리하는 컴퓨터에 입력되었을 때에 송신된 것으로 본다."
˚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사무절차나 사무처리의 표준화를 행하는 것은 사무관리의 역할입니다.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2조 (한국인터넷진흥원)
① 정부는 정보통신망의 고도화(정보통신망의 구축˙개선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제외한다)와 안전한 이용 촉진 및 방송통신과 관련한 국제협력˙국외진출 지원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한국인터넷진흥원을 설립한다.
3과목 : 프로그래밍 일반
==========================================================================================
-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제어 구조
˚ 순차(Sequence) : 명령을 순서대로 나열한다.
˚ 선택(Selection) : 특정 논리에 기초하여 명령을 선택한다.
˚ 반복(Repetition) : 순환을 제공한다.
˚ 은행원 알고리즘 (Bank's Algorithm)은 교착 상태의 해결 방법 중 회피 기법(Avoidance)에 속한다.
˚ 저장 클래스(기억 클래스)를 명시하지 않은 변수는 기본적으로 auto(자동 변수)로 간주된다.
★★
˚ 예약어(Reserved Word)는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핵심어(Key Word)로, C언어에는 다양한 예약어 들이 있다.
- 운영체제의 기능
˚ 자원의 효율적으로 관리
˚ 작업의 연속적 관리를 위한 스케쥴 관리
˚ 여러 사용자 간의 자원 공유
★★
˚ 프로그래머가 직접 제어를 표현하여 순서를 제어하는 것을 명시적 순서 제어라고 하며,
프로그래머가 직접제어를 표현하지 않아도 그 언어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묵시적 순서 제어라고 한다.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프로세스(Process)는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이다.
˚ 프리프로세서(Preprocessor, 전처리기)는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기존의 고수준 컴파일러 언어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파스 트리(Parse Tree)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 분석하여
각각의 문장을 문법 구조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 주석(Comment)
˚ 프로그램의 판독성을 향상시킨다
˚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형식은 달라도 주석을 허용한다
˚ 프로그램 문서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
- 로더의 기능
˚ 할당(Allocation) :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장치 내에 옮겨 놓을 공간을 확보한다
˚ 연결(Linking) : 기호로 표시된 주소를 실제 주소값으로 변환한다.
˚ 재배치(Relocation) : 종속적인 모든 주소를 할당된 주기억장치 주소와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 적재(Loading) : 데이터를 할당된 기억공간에 실제로 옮긴다.
˚ LRU(Least Recently Used)는 주기억 장치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할 페이지로 선택하는 교체 알고리즘이다.
- C 언어의 자료형
˚ int : 정수형
˚ long : 정수 확장형
˚ float : 실수형
˚ double : 배정도 실수형
˚ char : 문자형
˚ scnaf() : 표준 입력 함수
˚ printf() : 표준 출력 함수
˚ getchar() : 문자 입력 함수
˚ putchar() : 문자 출력 함수
˚ gets() : 문자열 입력 함수
˚ puts() : 문자열 출력 함수
˚ 중위 표기법 (Infix Notation)은 두 피연산자 사이에 연산자가 놓여지는 가장 일반적인 표기법으로,
이항(Binary) 연산자에 적합하다.
★★
- C언어 이스케이프 시퀀스
˚ \r : carriage return
˚ \n : new line
˚ \t : tab
˚ \f : form feed
˚ \b : backspace
˚ 변수(Variable)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언제라도 변경될 수 있고,
상수(Constant)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이 변경될 수 없다.
˚ 어휘 분석(Lexical Analysis)은 그 결과물로서 문법적으로 의미있는 토큰(Token)을 생성한다.
★★
˚ 프로그램 수행 순서 : 원시 프로그램 -> 컴파일러 -> 목적 프로그램 -> 링커 -> 로드모듈 -> 로더 -> 실행
4과목 : 정보통신 개론
==========================================================================================
˚ 통신 제어장치(CCU : Communication Control Unit)는 데이터 전송 회선과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접속 제어, 전송 제어,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 단방향(Simplex) 통신 :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 반이중(Half-duplex) 통신 : 양쪽 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쪽 방향에서 전송이 불가능한 방식이다.
˚ 전이중(Full-duplex) 통신 : 동시에 양쪽 방향에서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
- HDLC의 프레임 구조
˚ 플래그 - 주소부 - 제어부 - 정보부 - FCS - 플래그
˚ 비동기식(Asynchronous) 전송은 전송 신호 자체로 타이밍을 식별하는 전송 방식으로,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하며,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기 위해 문자의 앞 뒤에 각각 Start Bit와 Stop Bit를 가진다.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프로게스 간에 대한 연결을 확립, 관리, 단절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 논리적 동기 제어, 긴급 데이터 전송, 통신 시스템 간의 회화 기능 등을 제공한다.
˚ 매체 접근 제어(MAC : Media Access Control)는 LAN에서 하나의 통신 회선을 단말장치들이 원활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회선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CSMA, CSMA/CD,
토큰 버스, 토큰 링이 있다.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장치는 MODEM이다.
˚ 채널 용량 C는 이므로,
대역폭(W), 신호 전력(S), 신호대잡음비(S/N)에 비례하고, 잡음전력(N)에 반비례 한다.
˚ 데이터 전송계 : 단말장치, 데이터 전송 회선(신호 변환장치, 통신 회선), 통신 제어장치
˚ 데이터 처리계 : 컴퓨터(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는 여러 신호를 전송 매체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동시에 전송하는 기법으로 인접한 채널 간의 간섭을 막기 위해 보호 대역(Guard Band) 필요하다.
˚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광섬유를 이용한 LAN으로서,
두개의 링으로 구성 된다.
★★
˚ 성형(Star)망은 중앙 컴퓨터를 중심으로 단말장치들이 포인터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중앙 집중식의 구성 형태이다.
- 디지털 데이터 -> 아날로그 신호 변환 방법 종류
˚ 진폭 편이 변조(ASK : Amplitude Shift Keying)
˚ 주파수 편이 변조(FSK : Frequency Shift Keying)
˚ 위상 편이 변조(PSK : Phase Shift Keying)
˚ 진폭 위상 변조(QAM : Quadrature Shift Keying)
- 비동기식 전송
˚ 시작 비트
˚ 데이터
˚ 정지 비트
★★
- HDLC의 데이터 전송모드
˚ 정규(표준) 응답 모드(NRM)
˚ 비동기 응답 모드(ARM)
˚ 비동기 균형 모드(ABM)
˚ PAD(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패킷 조립 분해기)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분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패킷 교환 방식은 음성 전송보다 데이터 전송에 더 적합하다.
˚ 해밍 코드(Hamming Code)는 자기 정정 부호로서 오류를 검출하여 수정까지 가능한 방식으로,
데이터의 재전송 없이도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 전송 제어 절차
① 회로 연결
② 링크 확립
③ 메시지 전달
④ 링크 절단
⑤ 회로 절단
-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 구문(Syntax) : 전송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한다
˚ 의미(Semantic) : 전송 제어와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 타이밍(Timing) : 두 개체 간에 통신 속도를 조정하거나 메시지의 전송 및 순서도에 대한 특성을 가리킨다.
'자격증 > 사무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5월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17.05.01 |
---|---|
2015년 9월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17.04.30 |
2015년 3월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17.04.23 |
사무자동화 산업기사 기출공부 3 (0) | 2017.04.16 |
사무자동화 산업기사 기출공부 1 (0) | 2017.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