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드 오버로딩이란 ? 같은 이름의 함수에 매개변수를 다르게 사용하여 매개 변수에 따라 다른 함수가 실행되는 것입니다. 메소드 오버로딩을 사용함으로써 메소드의 이름을 절약하여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예제를 통해 메소드 오버로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소드 오버로딩을 사용하는 B 클래스 public class B { // 메소드 오버로딩 // 메소드의 이름을 중복해서 선언하는 것 // 단, 매개변수의 타입(종류)와 갯수, 순서가 달라야 한다. // 오버로딩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 메소드가 매개변수에 따라서 의미가 비슷한 작업을 진행 할 때 // ex) System.out.printls(); // char 형태 출력 메소드명 : System.out.printChar(char ch); /..
생성자란? 인스턴스 생성시 딱 한번 호출되는 메소드로써, 인스턴스 변수의 초기화를 목적으로 정의되는 메소드입니다. 생성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인스턴스 변수의 초기화를 한결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습 예제를 통해 공부하겠습니다. public class A { // 개발자가 직접 클래스에 생성자를 만들지 않으면 // 컴파일러가 아무일도 하지 않는 (객체만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는) 기본 생성자(디폴트 생성자)를 만들어 낸다. // 개발자가 생성자를 직접 만들어 놓았으면 디폴트 생성자는 컴파일러가 만들지 않는다. // 생성자의 구조 // 1) 생성자는 무조건 접근지시 제어자가 """"public"""" // 이유 : 객체는 항상 클래스 외부에서 만든다. // 때문에 private으로 되어있으면 ..
static변수란 ? 변수가 선언된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를 공유하는 변수이다. 즉, 인스턴스 변수가 인스턴스 별로 각각 존재한다면 static을 사용하여 딱 하나만 존재해서 모든 인스턴스를 공유하는 형태의 변수이다. static 변수와 메소드를 사용하는 클래스 public class B { // 정적변수는 B클래스의 소속이 아니다. 단지 위치만 B클래스 안에 속해있고 프로그램 소속이다. public static int s_num = 0; // static 변수(정적)...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딱 한번만 만들어짐 public int m_num = 0; // 인스턴스 변수(멤버변수) .. 객체가 만들어 질 때 마다 만들어 진다. public B() { s_num++; this.m_num++; System..
접근 지시제어자(private, protected, default, public) 를 배우고 데이터 보안(정보은닉)에 대해 알게 되었으니, 캡슐화에 대한 공부를 안할 수 가 없습니다. 캡슐화는 객체지향 기반의 클래스 설계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원칙들 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실습 예제를 보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캡슐화 예제를 보여주는 계산기 클래스 public class Calculator { // 인스턴스 변수가 보이지 않게 정보를 은닉 private int num1; private int num2; private int result; public void setNum1(int num1) { this.num1 = num1; } public void setNum2(int num2) { t..
자바에는 접근 지시 제어자가 있습니다. 자바의 접근 지시 제어자로 1. private 2. protected 3. public 4. default 위의 네가지가 있습니다. 접근 지시 제어자 설명 private 해당 클래스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protected 동일 패키지내의 클래스 또는 해당 클래스를 상속받은 외부 패키지의 클래스에서 해당 변수, 메소드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public 어떤 클래스에서 해당 변수, 메소드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default 별도의 접근 지시 제어자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이며, 해당 패키지 내에서 해당 변수, 메소드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접근지시제어자 해당 클래스 해당 패키지 상속받은 클래스 그 외 private O X X X default O O X X protect..
객체지향언어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습니다.-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때 기존의 코드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코드의 관리가 용이합니다.- 코드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적은 노력으로 쉽게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신뢰성이 높은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합니다.- 제어자의 메소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호하고 올바른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여 코드의 불일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란? 객체의 틀 클래스의 정의 -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 입니다.클래스의 용도 -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합니다. 객체란 ? 실제로 존재하는 것 객체의 정의 - 실제로 존재하는 것, 사물 또는 개념객체의 용도 - 객체가 가..
반복문 이란? 어떤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때 사용하는 구문입니다. for문 while문 do~while문 for(초기화; 조건식 ; 증감식) 문장; : : } => 조건식이 true일 때 문장을 수행 while(조건식) { 문장; : : } => 조건식이 true일 때 문장을 수행 do{ 문장; : : }while(조건식); => 문장을 한번 수행하고 조건식이 true 일 때 다시 do 부터 수행하여 문장을 수행 1. for문 초기화를 수행하고 조건식을 만족하면 문장들을 수행하고, 증감식으로 넘어갑니다. 초기화 → 조건식 → 수행할 문장 → 증감식 ↑ ↓ ← ← ← ← ← ← ← ← ← ← 증감식을 마치고 조건식에 도달하였을때 조건식에 해당한다면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조건식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
1과목 : 사무자동화 시스템 ========================================================================================== ˚ 산출 성과를 정량화하기가 어렵다. - 사무자동화의 방법론 ˚ 전사적 접근 방식 : 소규모 조직이나 신설조직에 적합한 방식으로 사무자동화 대상이 되는 모든시스템, 전 업무, 전 계층에 걸쳐 추진되는 방식 ˚ 부분 전개 접근 방식 : 기획, 인사, 관리 등 전시 효과가 크고 수행이 쉬운 부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추진하는 방식 ˚ 업무별 접근 방식 : 업무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분야부터 시작하여 완료시까지 업무의 흐름에 따라 사무자동화를 추구해 나가는 방식 ˚ 계층별 접근 방식 : 업무의 계층이나 직위에 따라 사무자..
1과목 : 사무자동화 시스템 ========================================================================================== - MHS (Message Handing System, 메시지 처리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텔렉스 등 통신수단에 관계없이 상대방의 통신수단별 번호만 알면 국내외 어디서나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MHS의 구성 - User(사용자) - UA(User Agent, 사용자 에이전트) - MTA(Message Transfer Agent, 메시지 전송 에이전트) - MS(Message Store, 메시지 저장장치) - AU(Access Unit, 엑세스 장치) ˚ DPI(Dots Per Inch)..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 ˚ PEM (Privacy Enhanced Mail)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이메일 보안 시스템의 일종으로, 내용을 암호화 하여 제 3자가 알아볼 수 없게 한다. ˚ 랜더링 (Rendering)은 3차원 그래픽에서 화면에 그린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더해주는 기술이다. ˚ 모핑 (Morphing)은 한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변형시키는 기술이다. ˚ 사무자동화의 궁긍적인 목표는 사무 부분의 생산성 향상이다. ˚ 도메인 (Domain)은 하나의 속성(Attribute)이 취할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