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이란? 어떤 조건일 때는 어떤 작업을 하라는 명령문 입니다. 파이썬에서 중요한 조건문은 IF문입니다. 문법 ˚ if 조건 : 실행문장1 실행문장2 실행문장3>>> money = 11000 >>> if money > 10000 : ... print("국밥 사먹고") ... print("커피 사먹고") ... print("아이스크림도 사먹자요~!!") ... 국밥 사먹고 커피 사먹고 아이스크림도 사먹자요~!! IF ~ ELSE 문 문법 ˚ IF 조건 : 실행문장1 ELSE : 실행문장2 >>> money = 11000 >>> money = 9000 >>> if money > 10000 : ... print("국밥 사먹고") ... print("커피 사먹을 수 있다.") ... else : ... pri..
1. 리스트 유형 데이터를 요소에 집어 넣은 유형 여러 데이터를 넣을 때 '[ ]'를 사용한다. 문법 ˚ 리스트 이름 = [ 0번요소, 1번요소 , 2번요소 ...]>>> list1 = [1,"나는연어다",2,"블로그"] >>> list1 [1, '나는연어다', 2, '블로그'] 1 "나는연어다" 2 "블로그" 0번요소 1번요소 2번요소 3번요소 숫자형 문자열형 숫자형 문자열형 리스트 데이터 관리하기 데이터 추가하기 - [ append() / insert() 함수] append() -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 요소에 추가 insert() -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 입력 append() 함수 실습>>> list1 = [1,"나는연어다",2,"블로그"] >>> list1 [1, '나는연어다', 2, '블로그'] ..
1. 숫자형 숫자로 이루어진 데이터 유형 종류 예시 정수 111, -11, 0 실수 111.23 , -111.23 , 1.1e10 복소수 1 + 1j, -1j 8진수 0o34, 0o25 16진수 0x2A , 0xFF 정수형 정수형 숫자는 소수점이 없는 숫자형을 의미 기본연산자 연산자 의미 예 + 덧셈 1 + 2 = 3(결과) - 뺄셈 2 - 1 = 1(결과) * 곱셈 2 * 1 = 2(결과) / 나눗셈 4 / 3 = 1.33333(결과) // 나누고 난 몫만 4 // 3 (나머지만) = 1(결과) % 나머지 3 % 2 = 1(결과) ** 승수 구하기 3 ** 4 (3의 4승 구하기) = 81(결과) 숫자형변환 정수형변환 int() 실수형변환 float() >>> num1 = int(input("숫자 입력..
변수를 만들어 다양한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산술 연산자 연산자 기호 설명 예시 + 덧셈 A + B - 뺄셈 A - B * 곱셈 A * B / 나눗셈 A / B % 나머지 (몫) A % B ex) 연산자 사용>>> a = 3 >>> b = 4 >>> a+b 7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방법 함수 설명 예시 print() 변수나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한다. print("출력할 문장") print(출력할 변수) ex) print() 함수 사용>>> print("나는연어다.") 나는연어다. >>> str = "프로그래밍" >>> print(str) 프로그래밍 * 출력 문장 중간에 변수의 값을 넣고 싶을 때 다음과 같은 포멧을 이용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포멧 의미 %d 정수(123) %f 실수(123...
변수란 ?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할 데이터들을 담아두는 일종의 그릇 파이썬에서 변수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명 = 변수에 담을 값 * 변수를 만드는 규칙 1. 변수이름은 반드시 영문자나 언더스코어(_)로 시작해야 하고 숫자나 특수문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단 숫자나 특수문자를 변수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ex) _var(O) , var(O), 1var (X) ... 2. 대문자와 소문자는 다른 변수로 인식합니다. 3. 파이썬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단어들(예약어)은 변수로 사용할 수 없다. 예약어 and exec not assert finally or break for pass class from print continue global raise def if return del impo..
함수용도 사용법 입력위치 합 =SUM([기존필드명]) 입력란 컨트롤/바로가기/메뉴/속성/컨트롤 원본에 입력한다. 평균 =AVG([기존필드명]) 최대 =MAX([기존필드명]) 최소 =MIN([기존필드명]) 레코드(행) 개수 =COUNT([기존필드명])=COUNT(*) 집단함수는 그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즉, 그룹 바닥글에 입력하면 그룹에 대한 집단 함수 값이 되며 바닥글에 입력하면 전체 레코드에 대한 집단 함수 값을 표시한다. ※주의: 개수를 셀 경우 '*'를 사용하면 NULL값(빈 셀)도 포함된다. 오늘날짜 =NOW(), =DATE() 수식이나 함수는 입력란바로가기 메뉴/속성/컨트롤원본에 입력 정수표현버림 =INT([기존필드명]) 반올림=INT([기존필드명]+0.5)올림=INT([기존필드명+1)조건..
수학/삼각 함수 목록함수 설명 ABS 절대값을 구한다. =ABS(Number) INT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만든다. =INT(Number) =INT(-2.9)= 3 MOD 두 수를 나눈 후 나머지를 구한다. =MOD(A1,A2) 관련함수:QUOTIENTROUND 특정 값으로 반올림한 값을 구한다. =ROUND(A1,0)=ROUNDDOWN(A1,-1), =ROUNDUP(A1,-1)SUM목록에 있는 숫자를 모두 합한 결과를 나타낸다.=SUM(A1:C1, A2:C2, A3:C3)SUMIF주어진 조건에 의해 지정된 셀들을 더한다.=SUMIF(조건범위, 조건, 합계 범위)부서의 열들, 특정부서 하나, 더하고자하는 열들SUMPRODUCT대응되는 값끼리의 곱을 모두 더한다.=SUMPRODUCT(a..
찾기, 참조 함수 목록 함수설명LOOKUP벡터 또는 배열에서 값을 찾는다.LOOKUP 함수는 벡터형과 배열형의 두가지 구문 형식이 있다. =LOOKUP(MAX(A1:A14),A1:A14, B1:B14) 벡터형은 벡터에서 값을 찾아, 둘째 벡터의 같은 위치에 있는 값을 표시한다.배열형은 지정한 값을 배열의 첫째행이나 열에서 찾아, 배열의 마지막 행이나 열의 같은 위치에 있는 값을 표시한다.정확한 값이 없을때 근사값을 찾는다. HLOOKUP 표나 배열의 첫째 항에서 값을 찾아, 지정한 행에서 해당하는 열의 값을 구한다. =HLOOKUP(A1, $B$1:$C$14,2,1) (검색조건셀),(참고데이터영역),(기록된열),(일치하는 값: false 또는 생략, 근사값: true:1) VLOOKUP DATA의 정리가..
문자열 함수 목록 함수 설명 LEFT, RIGHT LEFT(text,num) , RIGHT(text,num) =LEFT(A1, 2) , =RIGHT(A1,2) CONCATENATE함수로 추출한 문자를 공백문자와 같이 연결한다. MID 문자열의 지정한 위치로부터 지정한 개수의 문자를 추출한다. =MID(A1,2,1) A1셀에서 두번째부터 1개의 숫자나 문자 TEXT 숫자로 표시된 값을 특정 표시 형식의 문자열로 반환한다.워크시트 자체로 보면 셀서식 메뉴에서 표시형식에 처리가능하므로함수 자체로만 큰 용도는 없지만 표시 형식 결과값을 문자열로 변환 참조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TEXT(A1, "YYYY") TRIM 문자열 양끝에 있는 공백과 단어 사이에 있는 한 칸의 공백만 제외하고 공백을 모두 삭제한다.다..
